본문 바로가기
이거어때요?

영화 더포스트를 통해 본 대한민국의 언론

by 빨간고양이 2025. 2. 26.
728x90
반응형

 

영화 '더 포스트'는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작품으로, 언론의 자유와 진실을 다룬 감동적인 이야기예요. 이 영화는 1971년 미국의 '워싱턴 포스트' 신문이 베트남 전쟁에 관한 기밀 문서를 공개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되죠. 그럼 이제 영화에 대해 좀 더 깊이 들어가 볼까요? 🎬

 

영화 '더 포스트' 소개

'더 포스트'는 2018년 2월 28일에 개봉했어요. 이 영화는 언론의 자유와 진실을 지키기 위한 기자들의 고군분투를 그린 작품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큰 감동을 주었죠. 특히, 메릴 스트립과 톰 행크스가 주연을 맡아 그들의 연기력은 정말 인상적이에요.

이미지 출처

 

영화의 배경과 주제

영화는 1970년대 초반, 베트남 전쟁의 진실을 숨기기 위해 미국 정부가 어떤 조치를 취했는지를 보여줘요. '워싱턴 포스트'는 이 기밀 문서를 입수하게 되고, 이를 보도하기 위해 많은 위험을 감수해야 하죠. 이 과정에서 언론의 자유와 진실을 지키기 위한 기자들의 사명감이 잘 드러나 있어요.

이미지 출처

 

주요 캐릭터 분석

주요 캐릭터인 캐서린 그레이엄(메릴 스트립 분)과 벤 브래들리(톰 행크스 분)는 각각 신문사의 대표와 편집장으로서, 언론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해요. 캐서린은 처음에는 두려움과 불안감에 휩싸이지만, 점차 자신의 결정을 확고히 하게 되죠. 벤은 그녀를 지지하며, 함께 진실을 밝히기 위해 노력해요. 이들의 관계는 영화의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예요.

이미지 출처

 

영화의 메시지와 사회적 의미

'더 포스트'는 단순한 역사적 사건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현재에도 여전히 중요한 언론의 자유와 진실의 가치를 일깨워줘요. 특히, 오늘날의 사회에서도 언론이 진실을 보도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해주는 영화예요.

이미지 출처

 

영화의 시각적 요소와 연출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연출은 정말 뛰어나요. 영화의 촬영 기법과 조명, 그리고 세트 디자인은 1970년대의 분위기를 잘 재현하고 있어요. 특히, 뉴스룸의 복잡한 분위기와 긴장감이 잘 전달되죠.

이미지 출처

 

관람 후기 및 개인적인 생각

영화를 보고 나서 느낀 점은, 언론의 자유가 얼마나 소중한지를 다시 한번 깨달았어요. 캐서린과 벤의 용기 있는 선택이 결국 진실을 밝혀내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점이 인상 깊었어요. 이 영화는 단순한 역사적 드라마가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해주는 작품이라고 생각해요.

더불어 현재 대한민국의 언론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되었어요.

대한민국의 언론은 조선일보를 비롯하여 동아일보 등 보수 언론과 한겨례, 경향등의 진보 언론이 양축을 이루는 현상이 있습니다. 특히 거대 언론인 조선일보의 경우는 매우 정치적인 언론이라고 봅니다. 영화 내부자들에서도 우리가 간접 경험을 했듯이 언론이 정치를 움직이는 역할이 큰 언론이기도 하지요.

정치를 움직이는 것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사실 언론은 기사거리를 취재하고 팩트와 의견을 낼 수 있어야 한다고 보는데 지금의 현실은 그렇지 않다고 봅니다.

매우 정치 성향적인 기사를 만들고 그리고 그 내용으로 대중의 생각을 지배하려는 경향이 매우 짙다고 봅니다.

또한 취재가 아닌 퍼 나르기식 언론이 너무 많아요.

특히 요즘은 조회수나 클릭수로 광고로 먹고사는 언론이 많다 보니 자극적인 내용으로 포털에서 조회수를 높이고 온갖 사이트는 광고로 도배되어 있고 읽는 독자에게 매우 피로도가 높다고 봅니다.

이제 바뀌어야 한다고 봅니다.

언론이 존재하는 목적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자본주의인 만큼 수익도 중요하니 그에 대해 깊은 연구들이 더욱 더 이루어져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언론이 힘을 냈으면 합니다. 본질에 충실한 언론을 기대해 봅니다.

 

마무리 및 추천

'더 포스트'는 언론의 자유와 진실을 지키기 위한 기자들의 고군분투를 그린 감동적인 영화예요. 이 영화를 통해 우리는 언론의 역할과 그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어요. 꼭 한 번 보시길 추천드려요! 🎥

 

 

 

728x90
반응형